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static static은 프로그래밍에서 정적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주로 java와 같은 객체지향 언어에서 사용이 된다.static 키워드는 변수, 메서드 블록 또는 내부 클래스에 적용될 수 있다 static 변수 (정적 변수)클래스에 소속된 변수이며, 클래스의 모든 인스턴스에서 공유된다.객체를 생성하지 않고도 클래스 이름을 통해서 접근이 가능하다메모리 공간은 프로그램 실행 시 한 번만 할당이 된다 class MyClass { static int count = 0; MyClass() { count++; } }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new MyClass(); .. 더보기 변수 변수(Variable) : 컴퓨터가 명령을 처리하는 도중 발생하는 값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으로, 변할 수 있는 값을 의미한다. 변수는 저장하는 값에 따라서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 등으로 구분된다. 변수명 작성 규칙 : 영문자, 숫자, _(under bar)로 시작해야 하며, 숫자는 올 수 없다.첫 글자는 영문자나 _로 시작해야하며, 숫자는 올 수 없다글자 수에 제한이 없다공백은 사용할 수 없다대/소문자를 구분한다 예약어를 변수명으로 사용할 수는 없다. 변수 선언 시 문장 끝에 반드시 세미콜(;)을 붙여야 한다. 예약어란 어떠한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도록 정해진 단어이다변수 이름이나 혹은 다른 목적으로는 사용이 불가하다 상수란 ? :변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도중 발생한 값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다 변수.. 더보기 블록체인 블록체인 Block : 데이터를 담는 단위로, 각각의 블록에는 거래 정보, 타임스탬프, 이전 블록의 해시 등이 포함된다. Chain : 블록들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가 조작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블록체인의 작동원리 : 거래발생 : 사용자가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한다. 검증 : 네트워크의 참여자(노드)가 거래의 유효성을 확인한다블록 생성 : 검증된 거래가 블록에 추가되고, 새 블록이 이전 블록에 연결된다. 블록 전파 : 새로 생성된 블록이 네트워크 전체에 전파되어 동기화된다. 블록체인의 특징 : 탈중앙화 : 중앙 서버나 관리자 없이, 네트워크의 모든 참여자가 데이터를 공유한다. 투명성 : 모든 거래가 기록이 공개되어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변조 방지 : 블록에 한.. 더보기 SW관련 용어 인공지능 (Artification Intelligence):인간의 두뇌와 같이 컴퓨터 스스로 추론, 학습, 판단 등 인간지능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뉴럴링크(Neuralink) : 사람의 뇌와 컴퓨터를 결합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설립한 회사이다작은 전극을 뇌에 이식함으로써 생각을 업로드하고 다운로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는 회사이다 딥 러닝(Deep Learning) :인간의 두뇌를 모델로 만들어진 인공 신경망을 기반으로 하는 기계 학습 기술이다마치 사람처럼 스스로 학습할 수 있고 많은 데이터를 정형화하지 않고도 스스로 필요한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다 매시업(Mashup) : 웹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서비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등을 만드.. 더보기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UDP(User Datagram Protocol)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특징 : 연결 지향적 : 데이터를 주고받기 전에 송신자와 수신자 간에 연결을 설정한다.신뢰성 : 데이터가 정확히 도착하도록 보장하며, 손실된 데이터는 다시 전송(retransmission) 된다오류 검출 및 복구 : 데이터가 손상되었거나 손실된 경우 이를 감지하고 복구한다. 데이터 흐름 제어 :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여 수신자가 처리 가능한 속도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순서 보장 : 데이터 패킷이 전송된 순서대로 수신자에게 전달된다. TCP 장점 : 신뢰성이 높아 정확한 전송이 필요할 때 적합하다. 파일 전송, 이메일, 웹 브라우징 등에서 이용된다 TCP 단점 :연결 설정 및 관리로 인해 오버헤드(부하)가 높고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 더보기 통신 프로토콜(Communication Protocol) 통신 프로토콜(Communication Protocol)은 서로 다른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정확하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한 통신 규약이다.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표준 규칙과 절차의 집합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문서를 모두 규정함 프로토콜( Protocol )이란 ?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 또는 한 장치와 다른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원활히 주고받기 위하여 약속한 여러 가지 규약(規約). 이 규약에는 신호 송신의 순서, 데이터의 표현법, 오류 검출법 따위가 있다.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 : 구문(Syntax) :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형식, 부호화, 신호 레벨 등을 규정한다의미(Semanics) : 두 기기 간의 효울적이고 정확한 정보 전송을 위한 협조 사항과 오류 관.. 더보기 스케줄링(Scheduling) 스케줄링은 운영체제에서 시스템 자원, 특히 CPU같은 프로세서 자원을 효율적으로 할당하고 관리하는 과정이다 스케줄링의 목적 -CPU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 : CPU가 유휴 상태로 남지 않도록 하여 시스템 자원의 활용도를 높인다. -응답 시간 단축 : 사용자에게 더 빠른 응답을 제공하여 시스템 사용 경험을 개선한다-공정한 자원 배분 시스템 자원을 공평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특정 프로세스가 자원을 독점하지 않도록 한다 스케줄링 알고리즘 : 선점형 스케줄링 (Preemptive Scheduling) : 하나의 프로세슥 CPU를 할당 받아 실행하고 있을 때 우선순위가 높은 다른 프로세스가 CPU를 강제로 뺴앗아 사용할 수 있는 스케줄링 기법이다 종류로는 Roun Robin, SRT, 선점 우선순위, 다.. 더보기 프로세스의 정의 프로세스(process)는 프로세서(CPU)에 의해 처리되는 사용자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 즉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프로세서가 할당되는 실체 -프로시저가 활동중인 것 -비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실시억장치(주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프로시저 : 한 프로그램은 여러 개의 작은 프로그램으로 분할될 수 있는데, 이 떄 분할된 작은 프로그램을 얘기한다 *비동기적 행위 : 다수의 프로세스가 서로 규칙적이거나 연속적이지 않고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말한다. Thread는 프로세스 내에서의 작업 단위이다 시스템의 여러 자원을 할당 받아 실행하는 프로그램 단위이다 더보기 이전 1 2 3 4 5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