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 시스템(File System)은 컴퓨터 운영체제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구조와 방식이다
역할 :
파일 시스템의 기능 및 특징
- 사용자와 보조기억장치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 사용자가 파일을 생성, 수정,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 적절한 제어 방식을 통해 타인의 파일을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파일의 정보가 손실되지 않도록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해야 한다.
- 파일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파일이 보호되어야 한다
*무결성이란?
- 데이터를 전송하는 도중에 데이터가 수정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파일의 구조는 파일을 구성하는 레코드들이 보조기억장치에 편성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편성 방법에 따라 순차 파일, 색인 순차 파일, 랜덤 파일, 분할 파일 등이 있다.
순차 파일(Sequential File) :
-레코드를 논리적인 처리 순서에 따라 연속된 물리적 저장공간에 기록하는 것을 의미한다.
- 파일의 레코드들이 순차적으로 기록되어 판독할 때도 순차적으로 접근하기 때문에
순차 접근 방식(SAM)
-급여 업무처럼 전체 자료를 처리 대상으로 일괄 처리하는 업무에 사용 된다.
직접 파일(Direct File) :
- 파일을 구성하는 레코드를 임의의 물리적 저장공간에 기록하는 것이다.
- 레코드에 특정 기준으로 키가 할당되며, 해싱 함수를 이용하여
키에 대한 보조기억장치의 물리적 상대주소를 계산한 후 해당하는 주소에 레코드를 저장한다
-레코드는 해싱 함수에 의해 계산된 물리적 주소를 접근이 가능하다
-임의 접근이 가능한 자기 디스크나 자기 드럼을 사용한다.
색인 순차 파일(Indexed Sequential File) :
*순차파일과 직접 파일에서 지원하는 편성 방법이 결합된 형태이다.
-색인(인덱스)을 이용한 순차적인 접근 방법을 접근하여 색인 순차 접근 방식이라고도 한다
-각 레코드를 키 값 순으로 논리적으로 저장하고, 시스템은 각 레코드의 실제 주소가
저장된 색인을 관리한다.
-자기 테이프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