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BMS란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의 약자로
관계형 테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다.
데이터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테이블들 간의 관계를 정의하여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각 테이블들은 행(row)과 열(column) 형태로 저장하고,
이 테이블들 간의 관계를 정의하여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NoSQL이란
비관계형 모델이다
구조화되지 않은 데이터를 지원한다.
정합성 보다는 가용성과 속도에 초점을 두고 있다.
대규모 데이터 처리와 빠른 읽기/쓰기 작업에 적합하다.
DCL이란 (Data Control Language)
데이터베이스 권한과 보안을 관리하는 명령어이다.
주요 역할로는 데이터 접근 권한 설정 및 제어이며,
주요 명령어로는
GRANT: 사용자에게 권한 부여
REVOKE: 사용자 권한 회수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거나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주요 역할: 테이블, 인덱스, 스키마 등 데이터베이스 객체 생성 및 변경이다
주요 명령어:
- CREATE: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객체 생성.
- ALTER: 기존 객체 수정.
- DROP: 객체 삭제.
- TRUNCATE: 테이블 데이터 초기화.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조회하고 조작하는 명령어.
- 주요 역할: 데이터를 추가, 수정, 삭제, 조회.
- 주요 명령어:
- SELECT: 데이터 조회.
- INSERT: 데이터 삽입.
- UPDATE: 데이터 수정.
- DELETE: 데이터 삭제.
정규화란 ? 데이터 중복을 제거하고
중복된 데이터를 줄여 저장 공간을 절약하고 데이터의 불일치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데이터 구조를
체계적으로 분리하는 과정을 얘기합니다.
정규화는 데이터를 논리적으로 설계하고 데이터 간의 관계를 명확히 정의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을 향상 시키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합니다.
장점으로는
데이터 삽입, 삭제, 갱신 시 이상 현상 방지가 있다
여기서 이상 현상이란
삽입 이상 (Insert Anomaly)
새로운 데이터를 삽입하려고 할 때, 불필요하거나 불가능한 데이터 삽입이 강제되는 상황입니다.
삭제 이상 (Delete Anomaly)
데이터를 삭제할 때, 의도하지 않은 관련 데이터까지 함께 삭제되는 상황입니다.
갱신 이상 (Update Anomaly)
데이터를 갱신할 때, 중복된 데이터가 존재해 모든 데이터를 일관성 있게 수정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